미국 뉴욕 백화점을 찾는 쇼핑객들의 발걸음이 분주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10월 소매 판매는 7,189억 달러로 전월 대비 0.4% 늘며 전문가 전망을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 속 경기 둔화 우려에도 미국 경제의 중추인 소비가 견조함을 뜻합니다. <br /> <br />10월 미국의 연간 소비자·생산자 물가 상승률도 전문가 예상치에 부합했고, 신규 실업수당 청구도 반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와 고용이 안정세를 보이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경제 성과가 좋다며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론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: 미국 경제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어떤 신호도 보내고 있지 않습니다. 현재 우리가 미국 경제에서 보고 있는 강함은 통화정책 결정을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.] <br /> <br />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, 에너지 가격 하락과 함께 금리 인하를 시급한 과제로 제시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당선인 (지난달 23일) : 금리가 2%였는데, 이제는 10%이고, 돈을 구할 수 없습니다. 우리는 가스와 석유를 시추할 것입니다. 그게 모든 것을 낮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연방공개시장위원회 구성원들은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통화 정책에서 중도 성향의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금리 인하 속도를 더 늦추는 게 적절하다고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뉴욕연방준비은행의 존 윌리엄스 총재 역시 금리 인하 시점은 경제 지표를 보며 결정해야 한다는 중도파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속도 조절론이 점점 힘을 얻으면서 12월에 금리 인하가 이뤄지더라도 내년부터는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 | 최고은 <br />자막뉴스 | 이미영 <br /> <br /> <br />#자막뉴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11701541056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